내 안엔 어떤 방어기제가 있을까?
보다 성숙한 방어기제를 내 것으로 만들어보자.
출처: cabaniss의 psychodynamic formulation "방어기제"
덜 적응적인 방어기제 (Less Adaptive Defenses):
1. 분열(Splitting): 좋고 나쁜 감정을 분리하여 나쁜 감정이 좋은 감정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방어. (예: Ms. A는 학대받은 어머니를 모두 나쁘다고 생각하고, 언니는 모두 나쁘다고 여긴다.)
2. 투사(Projection): 받아들이기 힘든 감정이나 특성을 자기 자신이 아닌 외부의 것이라고 인식하는 방어. (예: Mr. B는 친구가 자신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걱정했지만, 실제로는 자신이 친구를 좋아하지 않았다.)
3. 투사적 동일시(Projective Identification):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타인에게 투사하고, 그 사람과 상호작용하여 그 감정을 타인에게 경험하게 만드는 방어. (예: Ms. C는 남자친구에게 화가 났음을 자각하지 못하고 데이트에 늦어서 남자친구를 화나게 한다.)
4. 병리적 이상화와 평가절하(Pathological Idealization and Devaluation): 타인에 대해 과도하게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감정을 부여하는 방어. (예: Mr. D는 첫 번째 세션에서 치료사에게 "당신은 최고의 치료사입니다. 이전 치료사는 완전 바보였어요."라고 말한다.)
5. 부인(Denial): 받아들이기 어려운 감정이나 생각을 부정하는 방어. (예: Ms. E는 알코올 금단으로 인해 발작이 잦지만, 음주 문제는 없다고 주장한다.)
6. 해리(Dissociation): 받아들이기 어려운 감정이나 생각을 현실로부터 분리시키는 방어. (예: Mr. F는 상사에게 소리 질렀던 기억을 잊어버렸다.)
7. 행동화(Acting Out): 받아들이기 어려운 감정이나 생각을 행동으로 표현하는 방어. (예: 힘든 치료 세션 후, Ms. G는 아이스크림 한 통을 먹었다.)
8. 퇴행(Regression): 스트레스 상황에서 이전 발달 단계의 대처 방식을 사용하는 방어. (예: Mr. H는 시험 주간 동안 샤워를 멈추고 방을 치우지 않았다.)
적응적인 방어기제 (More Adaptive Defenses):
1. 감정의 격리(Isolation of Affect): 생각은 의식하면서도 그에 관련된 감정을 잊어버리는 방어. (예: Ms. I는 남편에게 버림받았지만, 아무 감정도 느끼지 않았다고 말한다.)
2. 지성화(Intellectualization): 고통스러운 감정을 과도한 사고나 분석으로 대체하는 방어. (예: Mr. J는 암 진단을 받았을 때, 병에 대한 연구 자료에 집중했다.)
3. 합리화(Rationalization): 받아들이기 어려운 행동이나 감정을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방어. (예: Ms. K는 해고된 것을 기뻐하며, "내가 그 일을 좋아하지 않았으니 다행이다."라고 말한다.)
4. 전치(Displacement): 받아들이기 어려운 감정이나 충동을 다른 대상으로 전환하는 방어. (예: Mr. L은 아내에게 화가 났지만, 아들에게 폭발했다.)
5. 신체화(Somatization): 불편한 감정이나 생각을 신체 증상으로 경험하는 방어. (예: Ms. M은 안 좋은 평가를 받은 후 두통이 생겨 병가를 냈다.)
6. 취소(Undoing): 받아들이기 어려운 감정이나 행동을 반대되는 행동으로 보상하려는 방어. (예: Ms N은 친구에게 나쁘게 대하고 나서, 생일 선물을 사주며 보상하려고 한다.)
7. 반동형성(Reaction formation): 받아들이기 어려운 감정을 반대로 표현하는 방어. (예: Mr O는 아이에게 짜증을 내고 싶었지만, 과잉 보호하는 모습을 보인다.)
8. 과잉감정화(Excessive emotionality): 감정을 의식하면서도 그에 관련된 생각을 잊어버리는 방어. (예: Mr P는 결혼에 대한 양가감정을 인식하지 못하고, 결혼 준비 과정 내내 불안하고 예민했다.)
9. 동일시(Identification): 질투나 경쟁적 감정에 대처하기 위해 타인처럼 되려고 하는 방어. (예: Ms Q는 더 인기 많은 룸메이트와 똑같이 입기 시작했다.)
10. 외재화(Externalization): 내면의 갈등이나 경험을 외부 상황으로 인식하는 방어. (예: Mr R은 불안정한 직장 상황을 자신감 부족 탓으로 돌렸다.)
11. 성애화(Sexualization): 불편한 감정이나 생각을 성적 행동으로 표현하는 방어. (예: Ms S는 구직 면접에서 불안해하며 부적절하게 노출이 많은 옷을 입었다.)
12. 억압(Repression): 받아들이기 어려운 생각이나 감정을 의식하지 못하게 억누르는 방어. (예: 치료 후, Ms T는 다음 약속을 까맣게 잊었다.)
13. 자기 공격(Turning against the self): 타인에게 느끼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감정을 자기 자신에게 돌리는 방어. (예: Mr U는 자신의 짜증나는 어머니와 대화하지 않은 것을 자신 탓으로 돌렸다.)
가장 적응적인 방어기제 (Most Adaptive Defenses):
1. 유머(Humor): 불편한 감정이나 생각을 농담으로 표현하는 방어. (예: 약혼자에게 버림받은 후, Ms. V는 "우리가 다른 케이터러를 선택했어야 했어요."라고 말한다.)
2. 이타주의(Altruism): 고통스러운 감정을 타인을 돕는 행동으로 전환하는 방어. (예: Mr. W는 암으로 아버지를 잃은 후, 암 환자를 돕는 재단을 설립했다.)
3. 승화(Sublimation): 받아들이기 어려운 충동을 더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방식으로 전환하는 방어. (예: 슬플 때, Ms. X는 아름답고 애절한 그림을 그린다.)
4. 억제(Suppression): 어려운 감정이나 생각을 의식적으로 잊고, 중요한 일에 집중하는 방어. (예: Mr. Y는 가족과의 갈등을 무시하고, 직장에서의 일에 집중하기로 했다.)